MY MENU

한국육아지원학회는 육아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합니다.

논문작성규정

  • STEP 01

    회원가입안내

  • STEP 02

    회원약관동의

  • STEP 03

    회원정보입력

  • STEP 04

    회원가입완료

‘육아지원연구’ 투고논문 작성규정

2018. 4. 1. 일부개정
2019. 12. 15. 일부개정
2021. 1. 15. 일부개정
2022. 12. 15. 일부개정

  1. 1. 논문 작성 양식과 분량
    1. 1) 논문은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한다.
    2. 2) 논문의 분량은 투고논문 작성규정에 따라 편집하여 인쇄했을 때 참고문헌과 초록을 포함하여 30쪽을 초과할 수 없다.
    3. 3) 반드시 육아지원연구 투고논문 작성규정에 맞추어 투고한다.
    4. 4) 투고논문에는 연구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하지 않는다.

  2. 2. 편집 규격과 양식
    1. 1) 편집용지의 규격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2. 용지규격 용지방향 여백 주기
      사용자 정의 194☓263 세로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머리말 꼬리말 제본
      29 25 28 28 10 0 0
    3. 2) 논문에 사용되는 글자와 문단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육아지원연구 논문작성파일’을 다운받아 내용을 모두 작성한 후, 해당 구분마다 블록을 쌓아 정해진 ‘스타일’을 지정하면 일일이 바꾸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된다.
    4. 구분 스타일 글꼴 크기 장평 자간 줄간격 문단 위/아래 들여 쓰기 내어 쓰기 정렬 방식 좌우여백
      논문제목 논문제목 HY태명조 17 80 -10 180 30/10 0 0 가운데 0 0
      요약제목 요약제목 휴먼고딕 10 100 0 160 0/0 0 0 가운데 0 0
      요약 요약내용 휴먼명조 8.5 100 -5 155 0/0 10 0 양쪽 0 0
      주제어 주제어 양재튼튼 8.5 100 -5 140 0/0 0 0 양쪽 10 10
      이름 이름 휴먼고딕 10.5 97 -5 160 0/25 0 0 양쪽 180 0
      각주 각주 휴먼명조 7.8 100 -3 140 0/0 0 12.5 양쪽 0 0
      본문 본문 신명조 10.5 97 -5 164 0/0 10 0 양쪽 0 0
      소제목 1단계
      [I, II]
      로마자 윤명조140 14 97 -3 162 23/23 0 0 가운데 0 0
      소제목 2단계
      [1, 2]
      1 HY중고딕 12 97 -3 176 13.5/13.5 0 15 양쪽 20 0
      소제목 3단계
      [1), 2)]
      1) HY중고딕 10.5 97 -3 163 0/5 10 0 양쪽 0 0
      소제목 4단계
      [(1), (2)]
      (1) 신명조 10.5 97 -5 176 0/0 20 0 양쪽 0 0
      표제목 표제목 HY중고딕 9 100 -5 160 0/0 0 0 양쪽 0 0
      표본문 표안 휴먼명조 9 97 -5 160 0/0 0 0 가운데 0 0
      그림제목 그림제목 HY중고딕 9 100 -3 160 0/0 0 0 가운데 0 0
      인용문 인용 신명조 9.2 97 -3 160 0/0 9 0 양쪽 28 28
      참고문헌제목 참고문헌 제목 HY태명조 13 100 -3 162 0/8.5 0 0 가운데 0 0
      참고문헌 참고문헌 신명조 9.5 97 -7 142 0/0 0 20 양쪽 0 0
      영문초록 타이틀 ABSTRACT 타이틀 윤고딕120 10.7 97 -3 176 0/18 10 0 가운데 0 0
      영문초록 제목 ABSTRACT 제목 신명태고딕 11 100 -3 162 0/0 0 0 가운데 0 0
      영문초록 본문 abstract 내용 신명중고딕 9 100 -3 160 0/0 10 0 양쪽 0 0

      ※ 사용하는 한글 프로그램에 지정된 글꼴이 없는 경우에는 신명조로 대체할 수 있음.

    5. 3) 제목의 번호는 다음의 위계에 따르며, 불필요한 번호 매김은 삼간다.
      • 1단계 : I, II, III …
      • 2단계 : 1, 2, 3 …
      • 3단계 : 1), 2), 3) …
      • 4단계 : (1), (2), (3) …
    6. 4)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돈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괄호 안에 한자나 영어를 병기한다.
      예) 핵심능력(key competencies)

  3. 3. 국문 및 영문 요약과 주제어
    1. 1) 국문 ‘요약’은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최대 12행 이내로 작성하되, 연구의 목적, 방법, 주요결과, 시사점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2. 2) 영문초록(‘ABSTRACT’)은 국문요약과 동일한 내용으로 작성하며, 영어만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3. 3) ‘주제어’는 3-5개 내외로 추출하여 국문 ‘요약’ 하단에는 한글(영문)으로 제시하고, 영문초록(‘ABSTRACT’) 하단에는 영문으로 제시한다.

  4. 4. 인용
    1. 1) 직접인용
      1. (1)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큰 따옴표를 하고 그 사이에 기술하며, 저자, 발행연도, 해당 쪽을 밝힌다.
        예) 이육아(2018)는 “유아는 .....존재”(p. 25)라고 주장하였다.
        “유아는 ...... 존재”(이육아, 2018, p. 25)이며, ......
      2. (2) 인용하는 내용이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위, 아래를 본문에서 한 줄씩 띄우고 좌우로 28씩 여백을 둔다.
    2. 2) 간접인용
      1. (1) 인용하는 문헌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 괄호 속에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예) 이 문제에 관하여 이육아(2018)는 ......
      2. (2) 인용하는 문헌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예) 한 연구(이육아, 2018)에 의하면 ......
      3. (3)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국내문헌, 동양문헌, 서양문헌 순으로 나열하되, 국내문헌과 동양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서양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문헌들 사이는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최근의 연구(이육아, 2018; 毛澤東, 1999; Williams, 2015)에 의하면 ......
      4. (4) 한 저자의 문헌 다수를 인용할 경우, 발행연도순으로 기재한다.
        예) 이육아(2012, 2015, 2018)은 ......
      5. (5)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
        저자 수 내용 예시
        2인 일 경우 최초 인용뿐 아니라 이후에도 동일하게 저자명 모두 기입 국문 이육아, 김지원(2017)에 의하면 ......
        (이육아, 김지원, 2017)
        영문 Williams과 Lee(2015)에 의하면 ......
        (Williams & Lee, 2015)
        3-5인 일 경우 최초 인용은 저자명 모두 기입 국문 이육아, 김지원, 박연구(2017)에 의하면 ....
        (이육아, 김지원, 박연구, 2017)
        영문 Williams, Kagan과 Lee(2015)에 의하면
        (Williams, Kagan, & Lee, 2015)
        두 번째 또는 그 이상 인용된 경우는 첫 번째 저자명 다음에 -등, et al. 기재 국문 이육아 등(2017)은 ......
        한 연구(이육아 등, 2017)에 의하면 ......
        영문 Williams 등(2015)에 의하면 .....
        (Williams et al., 2015)
        6인 이상일 경우 최초 인용부터 첫 번째 저자명 다음에 -등, et al. 기재 국문 박연구 등(2019)은 ......
        한 연구(박연구 등, 2019)에 의하면 ......
        영문 Kagan 등(2018)에 의하면 ......
        (Kagan et al., 2015)
      6. (6) 재인용의 경우, 원저와 재인용한 문헌의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제시하며, 재인용임을 밝힌다. 참고문헌에서는 재인용 문헌(실제로 본 문헌)만 제시한다.
        예) 김지원(2010)은 ...... 밝혔다(박연구, 2018에서 재인용).
        유아교육은 ...... 것이다(김지원, 2010, 박연구, 2018에서 재인용).
      7. (7) 번역서의 경우, 원저의 저자명을 적고 원저의 발행연도와 번역서의 발행연도를 빗금(/)으로 구분하여 나란히 표기한다. 원저의 발행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번역서의 발행연도만을 표기한다
        예) 자유선택활동에 대하여 Clayton(2015/2018)은… / (Clayton, 2015/2018)

  5. 5. 참고문헌
    • ⦁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된 것으로 제한하며, 여기에 예시한 것 이외의 참고문헌 작성법은 최신판의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ublication Manual(현재 7판) 양식에 따른다.
    • ⦁ 여러 언어권의 문헌을 참고하였을 경우, 참고문헌의 배열순서는 국내문헌, 동양문헌(국가명의 알파벳순), 서양문헌 순으로 열거하되, 국내문헌과 동양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서양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 ⦁ 저자의 이름은 국문 문헌일 경우 성과 이름을 붙여 쓰고, 영문 문헌의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은 다 쓰되 이름(first name)과 중간명(middle name)은 이니셜만 쓰고 약호표 ‘.’를 찍는다. 한글의 경우 괄호를 앞 글자 뒤에 바로 붙여 쓰고, 영문의 경우 괄호 앞에 한 칸을 띄어 쓴다. 단, 본문에서는 일관성을 위해 한글, 영문 모두 괄호를 앞 글자 뒤에 바로 붙여 쓴다.
    • ⦁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발간한 여러 문헌을 참고한 경우, 제목의 가나다순으로 열거하고, 연도 뒤에 a, b, c를 붙인다.
    • ⦁ 단독과 공저가 있는 경우에는 연도에 관계없이 단독, 공저 순으로 배열한다.
    1. 1) 일반 저서
      1. (1)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발행기관 순으로 제시한다.
      2. (2) 동양서 참고문헌 작성 시에 단행본의 저서명은 중고딕체로 표기한다.
        예) 이육아(2018). 유아교육과정. 한글사.
      3. (3) 영문 저서의 제목은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며, 영문 저서명은 이탤릭체로 한다.
        예) Williams, R. L. (2010).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eachers College Press.
      4. (4) 개정판은 제목에 이어서 괄호 안에 ‘개정판’ 혹은 ‘수정・증보판’이라 명시한다. 영문 저서의 경우, ‘2nd ed.’식으로 표기한다..
    2. 2) 편저
      1. (1) 저자명, 발행연도, 쳅터제목 다음에 쳅터가 포함된 책을 엮은 편집자의 성명을 적고, 괄호 안에 ‘편’(영어는 편집자명 앞에 ‘In’ / 괄호 안에 Ed. 혹은 Eds.)으로 표기한 후 책의 제목을 중고딕체(영어는 이탤릭체)로 적는다. 저서명에 이어 괄호 안에 해당 쪽수를 pp.로 표시하여 적은 후 마침표를 찍고, 발행기관을 적고 마침표를 찍는다.
        예) 박연구(2017). 직장인이 추구하는 삶의 의미. 이육아, 김지원(편),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pp. 388-440). 오름.
        Lepper, M. R., & Henderlong, J. (2000). Turning “play” into work and “work” into play: 25 years of research on intrinsic versus extrinsic motivation. In C. Sansone & J. M. Harackiewicz (Ed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earch for optimal motivation and performance (pp. 257-310). Academic Press.
    3. 3) 역서
      1. (1) 원저자명 뒤에 번역서의 발행연도를 괄호 안에 제시하고, 번역서명(중고딕체, 영문은 이탤릭체)을 적는다. 원전의 제목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대괄호를 이용하여 원전의 제목을 표기한다. 괄호로 묶어 역자명을 적고 ‘역(혹은 공역)’으로 번역서임을 표시(영문 역서의 경우 ‘Trans.)하고 마침표를 찍는다. 발행기관을 적고 마침표를 찍는다. 그 뒤에 원전의 출판연도를 괄호로 묶어 제시한다.
        예) Negroponte, N. (2016). 디지털이다[Being digital](백욱인 역). 커뮤니케이션 북스. (원전 2014 출판)
        Laplace, P. S. (2015). A philosophical essay on probabilities (F. W. Truscott & F. L. Emory, Trans.). Dover.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4. 4) 학술지 논문
      1. (1) 학술지 등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은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명,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논문명은 신명조, 학술지명과 권수는 중고딕체(영어는 이탤릭체, 학술지명은 첫 글자 모두 대문자)로 작성하며, DOI가 있는 것은 반드시 함께 기재한다. DOI 기입 시 http:// 혹은 https://부터 기입한다.
        예) 이육아(2018). 부모-자녀 관계와 교사-유아 관계의 관련성 분석. 육아지원연구, 13(1), 1-28. doi:10.16978/ecec.2018.13.01.001
        Lee, S. Y. (2006). A journey to a close, secure, and synchronous relationships: Infant-caregive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a childcare context.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4(2), 133-151. doi:10.1177/1476718X06063533
    5. 5) 학위 논문
      1. (1) 학위논문은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명(영문은 이탤릭체), 학위수여기관과 학위명 순으로 표기한다. 국내를 포함한 동양의 대학은 학위수여 대학을 먼저 적고 학위명을 기재하며, 서양대학의 경우는 괄호 안에 학위명을 적은 후 학위수여 대학을 적는다.
        예) 김지원(2017). 한국의 유아교육 변천사 연구. 한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Gold, N. (2015). Meta.......proj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6. 6) 연구보고서
      1. (1) 연구보고서는 연구자, 발행연도, 보고서명(중고딕체)과 연구물 일련번호(있을 경우), 연구기관 순으로 기재한다.
        예) 김지원(2017).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연구보고서 91-2). 한국대학교 교육연구소.
    7. 7) 학술대회 자료집
      1. (1)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자료집에 실린 경우, 저자명 바로 뒤에 발표된 연, 월, 일을 괄호로 묶어 제시하고 마침표를 찍는다. 이어서 연구의 제목을 중고딕체로 적고, 대괄호 안에 어떠한 형태의 발표(예: 기조 강연, 주제 발표, 구두 발표, 포스터 발표)인지 적은 후 마침표를 찍는다. 학회명과 어떠한 학술대회인지 적은 후 쉼표를 찍고, 지역을 표기한다.
        예) 김지원(2019. 11. 2.). 유아의 권리에 대한 인식[구두 발표].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년 추계학술대회, 서울.
        Park, K. (2020, March 23-25). If mama ain’t happy, nobody’s happy [Paper presentation]. American Psychological Research Association 20th Annual Meeting, New York, NY, U.S.
    8. 8) 신문기사
      1. (1) 신문기사는 기자명, 발행연월일, 기사제목, 신문명(중고딕체), 홈페이지(온라인에서 본 경우, 대표 홈페이지까지만) 순으로 기재한다
        예) 교육부(2022. 12. 6.). 교육부, 2023년 미래교육지구 33개 선정-교육청과 지자체의 협력으로 지역의 교육력 향상-. https://www.moe.go.kr에서 인출. .
        http://www.yonhapnews.co.kr에서 인출.
      2. (2) 보도자료는 보도주체명, 배포일시일, 보도자료제목, 홈페이지(온라인에서 본 경우, 대표 홈페이지까지만) 순으로 기재한다.
        예) 김계연(2017. 2. 25.). 직장인 68% “퇴근하면 지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연합뉴스.
    9. 9) 웹사이트 자료
      1. (1) 웹사이트 자료는 사이트명, 업로드연도(없을 경우 n.d.), 제목(중고딕체, 영문은 이탤릭체), 사이트 주소 순으로 기재한다.
        예) UNICEF Korea (n.d.). 유엔아동권리협약. https://www.unicef.or.kr/child-rights/outline.asp에서 인출.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ublic Participation (2015). Public participation spectrum. ahttps://iap2.org.au/wp-content/uploads/2020/01/2018_IAP2_Spectrum.pdf에서 인출.
    10. 10) ERIC 자료
      1. (1) ERIC 자료는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ERIC 번호), ERIC, 사이트 주소 순으로 기재한다. 제목은 이탤릭체로 한다.
        예) Mead, J. V. (1992). Looking at old photographs: Investigating the teacher tales that novice teachers bring with them (ED346082). ERIC.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346082.pdf

  6. 6. 표와 그림
    1. 1) 표는 본문 중에 삽입하고, 표 제목은 표의 상단 왼쪽에 <표 1>, <표 2>로 일련번호와 함께 적는다. 그림은 본문 중에 삽입하고,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 중앙에 [그림 1], [그림 2]로 일련번호와 함께 적는다. 표나 그림에 대해 본문 내에서 기술할 때에는 ‘표 1에 의하면, 그림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등으로 제시한다. 표나 그림을 다른 문헌에서 그대로 인용하는 것은 지양하되, 불가피한 경우는 반드시 하단에 출처를 밝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한다.
    2. 2) 표를 그릴 때 최상단과 최하단은 굵게(0.4mm) 그린다. 좌․우측에는 세로선을 그리지 않고 표 안의 세로줄도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표의 맨 윗줄은 15% 회색으로 한다.
    3. 예) <표 4> 자아개념에 따른 유창성, 융통성 점수의 t검증 결과
      창의성 자아개념수준 빈도(N) 평균(M) 표준편차(SD) t
      유창성 저 자아개념 52 2.93 0.48 -4.85*
      고 자아개념 52 3.35 0.40
      융통성 저 자아개념 52 3.03 0.36 -5.08*
      고 자아개념 52 3.39 0.35
    4. * p < .05
    5. 3) 통계 결과표를 작성할 때 통계치(t, F, r 등)는 모두 이탤릭체로 하고, 유의도수준 p는 해당하는 것만 표 하단 왼편에 제시한다. 부호 사이는 ‘Alt’ key와 ‘space bar’를 동시에 눌러 반 칸 띄어 쓴다(예: p<.05, F=3.42).

  7. 7. 게재 확정 후 편집 규정
    1. 1) 게재 확정 후 투고자는 최종 편집된 논문을 제출하는데, 이 때 필요사항과 저자의 인적사항을 모두 기재한다.
      1. (1) 필요사항: 연구비 수혜 논문, 학술대회 발표 논문, 학위논문의 요약본인 경우에는 논문 첫 장 하단에 각주로 이를 명시한다.
        예) 본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A2A01010399).
        본 논문은 2017년 한국육아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이 논문은 2018년도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임.
      2. (2) 저자 인적사항: 논문 제목 아래 투고자의 성명을 ‘한글(영문)’으로 작성하고, 각 주에 소속기관과 직위를 상세히 제시한다.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는 각주에 ‘(교신저자: 이메일주소)’를 추가한다. 맨 마지막 장의 영문초록(ABSTRACT)에도 제목 아래 영문으로 ‘성명(소속)’을 제시한다. 영문 성명을 제시할 때는 ‘성, 이름’ 순으로 한다.
        예) 제목아래: 이육아 (Lee, Yook Ah)**
        각 주: ** 한국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교신저자: yookah@hankook.ac.kr)
        영문초록: Lee, Yook Ah (Hankook University)
    2. 2) 논문의 편집은 학회에서 정한 ‘투고논문 작성규정’과 ‘논문편집파일’에 의거하여 투고자 본인이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투고자가 편집이 어렵거나 제대로 편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본 학회 편집부에 비용을 지불하고 편집을 요청하거나 편집부에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편당 30,000원).

  8. 부칙(2018. 4. 1. 개정)
    1. 1. 본 규정은 2018년 5월 1일부터 적용한다.
    2. 2.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을 따른다.

  9. 부칙(2019. 12. 15. 개정)
    본 규정은 2020년 1월 15일 마감분부터 적용한다.

  10. 부칙(2021. 1. 15. 개정)
    본 규정 중 수정된 부분(참고문헌 표기 형식의 업데이트 및 효율화)은 2021년 1월 15일 투고분의 수정본부터 적용한다.

  11. 부칙(2022. 12. 15. 개정)
    본 규정 중 수정된 부분[1-2], 4-2)-(5), 5-4), 5-8) 등]은 2023년 1월 15일 마감분부터 적용한다.